해외에서 귀국한 격리자들 관리에 큰 구멍, 국경 통제와 감독에 군 투입
‘코로나 19’ 사태가 일단 끝난 것으로 보였던 뉴질랜드에서 새로운 환자가 나오면서 다시 비상이 걸렸다.
6월 16일(화)까지 24일 연속 새로운 환자가 없었던 국내에서 최근 영국에서 귀국한 30대와 40대 나이의 자매 2명이 감염자로 확인됐다.
16일 오후에 애실리 브룸필드(Ashley Bloomfield) 보건국장은 이 같은 사실을 언론에 밝혔는데, 2명의 여성은 영국을 떠나 중동의 도하와 호주 브리즈번을 거쳐 에어
뉴질랜드 항공편으로 지난 6월 7일(일)에 오클랜드로 입국했었다.
입국 후 노보텔 오클랜드 엘레슬리(Novotel Auckland Ellerslie) 호텔에 6일간 격리됐던 이들은 6월 13일(토), 보건 당국으로부터 ‘특별허가(exemption)’를 받고 개인 차량(private vehicle)으로 웰링턴까지 이동했다.
이유는 부모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서였는데, 이동 및 장례식 참가 과정에서 공공시설은 사용하지 않았으며 밀접한 접촉자는 가족 중 한 명이었다고 보건 당국은 밝혔다.
브룸필드 국장은, 이들은 웰링턴에서 검사받기로 했고 결과가 이튿날 오전에 나왔으며 그중 한 명만 가벼운 증상을 보였다면서, 바라지 않았던 일이 벌어졌지만 이미 예상됐던 일이라고 비교적 차분한 모습으로 상황을 전했다.
또한 일부 보건 전문가들도 해외에서 계속 문제가 확산되고 있는 만큼 이런 상황은 충분히 예상됐다면서, 너무 과민하게 반응할 일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하루 뒤 이들이 밀접하게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는 인원이 비행기 승객들과 호텔 직원을 포함해 320명에 달하고, 또한 도착 후 7일이 되도록 검사도 한 번 안 받은 채 이동을 허락받았다는 사실이 전해지면서 여론이 들썩이기 시작했다.
특히 이들 말고도 지난주 입국자들 90명이 인도적 배려나 의학 또는 기타 이유로 허가를 받고 바깥을 돌아다닌 것으로 확인되면서 보건 당국의 안일한 격리 시설 관리에 비난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실제로 이번 일이 터지고 난 뒤 크라이스트처치의 한 장례식장 관계자는, 업체 측에서 참석을 거절했음에도 불구하고 보건 관계자를 대동한 해외 입국 격리자들 9~10명이 150여명이 모인 장례식에 참석했었다고 전해 그동안 격리자 관리가 엉망이었음을 보여주었다. (2면에 계속) [코리아리뷰]
매일 250여명 입국 중, 금주부터 CHCH공항도 입국자 관리 시작
(1면에서 이어) 보건부에 따르면 이번 주에 입국한 3400명이 격리된 상태이며 크라이스트처치에도 93명이 현재 코모도 에어포트(Commodore Airport) 호텔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매일 250명 정도가 입국하며 이번 주부터는 오클랜드만이 아닌 크라이스트처치 공항을 통해서도 입국하는 중인데, 이들 중 외교관들과 그 가족 그리고 항공기 승무원 등은 지금까지 자동적으로 격리에서 제외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토드 말러(Todd Muller) 국민당 대표는, 느슨한 검역 관리가 결국 바이러스의 국내 재유입을 초래했다면서 데이비드 파커(David Clark) 보건부 장관의 경질을 아던 총리에게 요구하기도 했다.
재신다 아던 총리도 2명의 확진 여성이 검사도 안 받은 채 격리 장소를 벗어난 것은 그들 잘못이 아니라 용납할 수 없는 시스템의 실패라면서, 이는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고 반복돼서도 안 되는 일이며 그것을 고치는 게 우리 임무이자 또한 실수를 허용할 여지도 없다면서 목소리를 높였다.
아던 총리는 보건 당국의 안일한 태도를 질책하면서, 향후 격리자들의 외출도 전면 불허할 뿐만 아니라 검역 과정의 관리 감독에 군을 투입하겠다면서, 당일 곧바로 대린 웹(Darryn Webb) 공군 준장을 국경 관리와 이를 점검할 책임자로 임명했다.
한편 이들 자매들과 같은 비행기를 타고 입국했던 승객들은 현재 여전히 이들이 묶던 호텔에 격리된 상태인데, 이들을 포함해 밀접 접촉 가능성이 있는 320명 전원에 대한 검사가 진행 중이다.
‘코로나 19’ 경보가 1단계로 내려간 지난 8일 이후 양성환자가 없었던 국내에서는 7일 만에 2명의 양성환자가 나온 셈인데, 현재 2명의 신규 환자들은 헛 밸리(Hutt valle) 지역에서 격리돼 있다.
6월 17일(수) 현재까지 뉴질랜드에서는 이번 2명을 포함해 모두 350명의 의심환자와 1156명의 확진환자 등 총 1506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사망자는 22명으로 변동이 없고 다만 양성환자가 2명 있게 됐다. [코리아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