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로 봉쇄령이 내려지는 바람에 눈 건강에도 악영향이 미쳐졌다.
최근 검안의(optometrist)들에 따르면 록다운이 해제된 이후 이른바 ‘안구건조증(dry eye)’이나 ‘눈의 피로(eyestrain)’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록다운 이전에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유는 사람들이 록다운으로 인해 집에서 일하거나 머무는 시간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전보다 더 많은 시간 동안에 컴퓨터와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들을 접했기 때문이다. 또한 야외 활동이 정지된 탓에 무료한 시간을 때우려고 집에서 TV 나 영화 등을 보는 시간도 덩달아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를 보도한 언론사가 오클랜드 시내에서 지나가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 한 여성은 록다운 동안 하루 14시간 동안 스크린을 보면서 지냈으며 눈에 통증도 느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사람도 화면을 쳐다보는 동안 긴장성 두통도 겪었지만 동시에 화면보기를 끝마친 후에는 시야가 뿌옇게 변하는 현상을 느끼기도 했다고 전했다.
검안의 협회의 한 관계자는, 록다운 이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뉴질랜드 성인의 50% 그리고 10대 청소년들 중 80%가 디지털 기기로 인한 안구 피로를 겪고 있으며, 또한 전체 인구의 29%는 안구건조증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록다운 이후 관련 자료는 아직까지 나오지는 않았지만 그 증상이 심하건 보통이건 간에 록다운이 근무 환경을 바꾸면서 사람들의 눈 건강에는 분명히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한 다른 전문가는 디지털 기기가 우리 주변에 점점 더 많아지면서 이런 현상은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매 20분마다 20초간 20피트 떨어진 다른 곳을 보는 이른바 ‘20/20 법칙’만이라도 지키기를 권유했다. [코리아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