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련된 외국 기술자들의 입국 봉쇄로 농업 생산에 막대한 지장이 발생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같은 주장은 최근 계절적으로 농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 기술자들을 해외에서 소개해오던 인력알선 업체들이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제기됐다.
조사에는 전국에서 8200개의 농장들과 함께 57개 인력알선 업체가 참여했는데, 이에 따르면 최소한 200여명의 전문 기술자들이 제때 입국하지 않으면 2700만톤의 먹거리나 1억1000만달러 손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이 중개하던 농업 기술자들은 주로 영국이나 아일랜드에서 입국해 매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 사이에 전국의 각 농장에서 각종 농업용 중장비를 다루던 이들이다.
중장비들을 가지고 기술자들은 곡물 수확은 물론 건초로 곤포를 만들며 또한 가축 분뇨인 슬러리(slurry)를 제거하고 이를 이용해 비료로 만들어 초지에 뿌리는 작업들을 한다.
농장 전문인력 알선협회(Rural Contractors) 관계자는, 당장 10월부터 인력이 들어오지 못하면 농장주들이 스트레스를 포함한 보건과 안전 문제는 물론 이번 겨울에 가축에게 먹일 사료도 제대로 준비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슬러리를 제때 처리하지 못하면 환경적인 문제도 발생하며, 만약 돌발적인 기상 이변이라도 발생하면 당장 다가오는 겨울에 가축 사료가 큰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최근 대미언 오코너(Damien O’Connor) 농업부 장관과 이 문제를 놓고 대화를 나눴는데, 그러나 오코너 장관은 외국 기술자들을 입국시킬 수는 없으며 농민들이 더욱 혁신적이 되어야 하고 내국인들을 이용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대답만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최근 윈스턴 피터스 부총리는 트랙터 운전이 그리 어렵지 않으며 외국 기술자들의 입국도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는데 이는 농민들을 모욕하는 것이라고 협회 관계자는 그의 발언을 비난했다.
또한 관계자는, 학교나 은행, 우체국도 없고 외따로 멀리 떨어진 지역에다가 일 자체도 계절적으로만 있다보니 오려는 사람이 없다면서, 그동안에도 농업 분야는 내국인 고용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하소연했다. (사진은 수거된 슬러리를 초지에 살포하는 광경) [코리아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