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당 “집권 시 알루미늄 제련소 5년 유지시키겠다”

545

‘티와이 포인트(Tiwai Point)’에 있는 알루미늄 제련소 폐쇄가 큰 경제 문제로 등장한 가운데 국민당이 집권하면 회사 측과 공장 유지 협상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8월 28일(금) 주디스 콜린스 당 대표는, 내년 8월 31일자로 공장 폐쇄를 발표한 리오 틴토(Rio Tinto)와 현재 제련소에 전기를 공급하는 메리디언(Meridian) 에너지와 협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제련소 폐쇄로 인해 직접적인 고용인원 1000여명을 포함해 2260여개 일자리가 한번에 없어지는 등 해당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인데, 사우스랜드 GDP의 10% 정도를 제련소가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국민당은 협상을 통해 최소한 향후 5년은 더 제련소를 운영해 사우스랜드 지역이 제련소가 결국에는 폐쇄된다고 하더라도 이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콜린스 대표는 현재 마나포우리(Manapouri) 지하발전소를 보유한 메리디언 에너지가 큰 손실을 볼 수도 있는 전기료를 제련소에 제시한 것을 이해한다면서, 국민당은 공장을 닫은 뒤 오염 물질 제거와 부지 청소에 대한 회사의 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공장 폐쇄에 따른 비용과 계속 유지 시 전기료 지원 등 제반 비용을 따져보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러나 회사 측이 이러한 제안에 응할지는 미지수이다.

작년에 리오 틴토는 당시 제련소의 상황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한 뒤 이어 알루미늄 국제시세가 크게 떨어지고 전기료 부담으로 더 이상 공장 유지가 어렵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뉴질랜드 정부는 공장 폐쇄 소식이 전해지자 큰 실망을 표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에너지를 담당하는 메간 우즈(Megan Woods) 장관이, 알루미늄 공장 폐쇄로 남는 상당량의 전력을 그동안 오염 물질 배출이 많았던 다른 분야에 돌려쓸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인버카길 남쪽의 블러프(Bluff) 해변에 위치한 티와이 포인트 알루미늄 제련소는 1971년부터 운영이 시작됐으며, 마나포우리 발전소는 처음부터 제련소에 전력을 공급할 목적으로 지어졌다.

이 제련소는 현재 뉴질랜드 전체 소비 전력의 13%를 사용하는데 이는 77만6000가구가 사용하는 전력과 맞먹는다.

지난 2013년에도 제련소 측은 전기료로 인해 폐쇄 방침을 밝힌 바 있으며 당시 국민당 정부가 2017년 1월까지 공장을 유지한다는 조건으로 3000만달러를 지원한 바 있다. [코리아리뷰]